<채널A 뉴스A 다시보기>
#1. “금융기관 부당 이득” vs “시장경제 흔든다”
“금융기관 부당 이득” vs “시장경제 흔든다”
[앵커] 이런 빚 탕감을 놓고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못 갚는 빚은 정리해 주는 게 맞다”면서 “오히려 끝까지 받아내려는 게 부당이득”이라고 한 반면, 국민의힘은
ichannela.com
[촌철]
가난의 고통을 아는 사람은 도덕적 해이라고 비난하지 않을 것이다.
얼마나 이들이 빚을 갚으려고 발버둥쳤을 지 알기 때문이다.
이재명 대통령도 마찬가지인 듯하다.
"예측했던 위험,
이미 다 비용으로 산정해서 이자로 받고 있는 부실채권
못 갚는 것을 끝까지 쫓아다니면서 받으면
부당이득이 되는 거예요."
"갚을 능력이 되는데
7년 지나면 탕감해줄지 모르니까
신용불량으로
7년 살아보시겠습니까?"
오히려 타운홀미팅에 참여해 질문한 국민에게 반문을 했다.
#2. [현장에서] 독일은 영업제한 손실 최대 6.7억 보상, 자영업 공화국 한국은?
[현장에서] 독일은 영업제한 손실 최대 6.7억 보상, 자영업 공화국 한국은? | 중앙일보
올라프 숄츠 독일 재무장관은 "전면 봉쇄에 따라 (피해 지원을 위해) 연방정부는 매달 110억 유로(약 14조8000억원) 안팎을 지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독일 재무부는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기업은
www.joongang.co.kr
[촌철]
코로나19 당시를 되돌아보자.
위 기사 속 독일 뿐만아니라 미국 등 대부분의 나라들은
영업 제한을 한 식당 등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의 손실을
정부가 다 보전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어땠는가?
자영업자들에게 큰 돈을 대출해주며 견뎌보라고 했다.
그 대출이 9월에 만기가 돌아온다.
그 전에 이미 원금과 이자를 내지 못하는 소상공인들은 신용불량자가 됐다.
정부가 공동체의 정신으로 마땅히 손실을 보전해야 했다.
그런데 당시 힘없는 소상공인들이 정부 대신 다 짊어진 것이 지금의 부실채권이다.
도덕적 해이인가?
공동체 의식의 부재인가?
#3. [한겨레] “집합금지·제한으로 입은 손해는 정부재정에서 지원해야”
“집합금지·제한으로 입은 손해는 정부재정에서 지원해야”
재난의 무게는 모두에게 같지 않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더 심각해진 불평등을 해소할 방안을 놓고 정치권의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민주당은 코로나로 ‘특수’를 누린 기업이 손해 본 이들과
www.hani.co.kr
[촌철]
코로나19 당시,
우리나라에서도 정부가 손실 부담을 져야 한다는 지적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한겨레 등 일부 언론만이 지적했을 뿐이고
문재인 정부는 철저히 외면했다.
[추경] 민생 소비쿠폰 7월내 15만~45만원 지급
어제 밤 늦게 국회가 2차 추가경정예산을 확정했다. 1. 민생회복 소비쿠폰 언제, 얼마나 받나?(1) 7월 내 1차 지급수도권 거주: 7월 내 15만원, 차상위계층 3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 40만원비수도권
a.intellitv.net
'사회, 따뜻하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촌철] 찌질한 윤석열..."복지부 생색내지마" (0) | 2025.07.04 |
---|---|
출산율 뉴스 속에 정우성이...굳이? (5) | 2024.11.26 |
손흥민엔 박수를! 네타냐후-윤석열엔 야유를! (4) | 2024.11.23 |
법 지키면 욕 먹는 사람들 ‘이상해’ (2) | 2024.11.22 |
”먹고 살려면 뭐 죽는 날까지 일해야죠“ (1)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