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쏠쏠하길

'심리회복 캠프' 아닌 '심리혼란 캠프'?

by IntelliTV 2025. 7. 16.

“신청 인원 미달로 폐강되었습니다.”


얼마 전 도착한 희망리턴패키지 심리회복지원 7월 프로그램 안내 문자였다.

소상공인의 심리 회복을 돕겠다는 취지의 프로그램이었기에 기대했던 분도 많았을 것이다.

하지만 폐강 통보는 너무도 담담했다.

이유는 “인원 미달”.

그게 전부였다.

소상공인진흥공단이 6월 27일 보낸 프로그램 취소 공지 문자(왼쪽)를 보냈다. 그런데 7월 14일 이번엔 산림치유원에서 행사 참여 안내 문자를 보냈다.
소상공인진흥공단이 6월 27일 보낸 프로그램 취소 공지 문자(왼쪽)를 보냈다. 그런데 7월 14일 이번엔 산림치유원에서 행사 참여 안내 문자를 보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다른 문자가 날아왔다.

 

“2025년 7월 29~30일 국립산림치유원 캠프에 선정되셨습니다.”

 

뭐라고?

폐강됐다고 한 프로그램 아닌가?

혼란스러운 건 당연했다.

사과도 없고, 설명도 없고, 그냥 “원래 하려던 대로 합니다”라는 식의 통보만 있을 뿐이었다.

 

이쯤 되면 심리회복 캠프가 아니라 심리혼란 캠프라는 말이 더 어울린다.

공공기관의 일방적 통보, 소상공인은 누구를 믿어야 하나

폐강과 재개를 번복하면서도 공공기관은 단 한 번도 책임 있는 설명을 하지 않았다.

공공정책의 기본은 신뢰, 예측 가능성, 그리고 투명한 소통이다.

하지만 지금의 ‘희망리턴패키지’ 운영은 그 어떤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정부 지원 사업, 실행보다 중요한 건 운영 태도

현 정부는 연일 “소상공인 회복”을 외치고 있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의 진심을 곡해하기 만들기 십상이다.

 

메시지의 진정성은 실행 조직의 세세한 실행 과정에서 검증되기 때문이다.

머리 따로, 다리 따로 노는 식이 되는 것이다.

 

폐강했다가 다시 한다면, 최소한 이유를 설명하고 양해를 구하는 게 맞는다.

 

공공기관의 일처리는 신속함보다 책임감이 우선이다.

말을 바꾸는 건 쉬울 수 있지만, 무너진 정책 신뢰는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

‘심리회복’을 말하기 전에 돌아봐야 할 것

희망리턴패키지는 이름 그대로 ‘희망’을 되찾는 과정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식의 운영은 정책 수혜자의 심리를 더 좋지 않게 만들 뿐이다.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이라면, 수혜자를 정책의 ‘대상’이 아니라 ‘주체’로 대우해야 한다.

정책의 내용보다 중요한 건, 그 정책을 어떻게 실행하고 설명하느냐이다.

지금 필요한 건 또 다른 프로그램이 아니라, 기본에 충실한 태도이다.

 

 

 

이재명 정부 맞아? 저소득층 청년임대 금리 인상 '황당'

한국은행은 7월 기준금리는 동결했지만 5월에는 기준금리를 낮췄다. 그런데 국토교통부는 7월부터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자립청년 등 국내에서 가장 취약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LH전세임

a.intellitv.net

 

 

[촌철]의대생 전원 복귀는 특혜...징계하고 '밥그릇' 깨자

1. South Korean medical students to return to school, urge education reforms. By Reuters은 촌철살인에서 따온 말이다.은 다른 이의 생각이나 뉴스가 아닌필자의 생각을 짧게 정리한 것이다. 우리 사회는 문과에서는

a.intellitv.net